
1. 작품소개
영화 부산행은 2016년 개봉 당시 큰 충격을 주었던 작품입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좀비 영화일 줄 알았는데 막상 보고 나니 인간의 감정과 본성이 부딪히는 순간들이 너무 현실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단순히 무섭기만 한 영화가 아니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인간 이야기가 중심에 있었습니다.
영화의 배경은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퍼진 대한민국. 서울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KTX 안에서 모든 일이 벌어집니다. 펀드매니저 석우(공유)는 일에만 몰두하느라 딸 수안(김수안)과의 관계가 멀어진 아버지입니다. 하지만 부산으로 가는 열차에 감염자가 타면서 평범한 하루가 단숨에 지옥으로 변합니다. 좁은 공간 안에서 벌어지는 혼란과 생존의 싸움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과 사랑, 그리고 이기심이 영화의 중심을 이룹니다.
2. 줄거리와 분위기
부산행을 보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좀비보다도 사람들의 선택이었습니다. 위기 속에서 어떤 사람은 타인을 밀쳐내고 어떤 사람은 낯선 이를 위해 손을 내밉니다. 저는 이 부분에서 오히려 진짜 공포를 느꼈습니다. 결국 무서운 건 괴물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상화(마동석)와 성경(정유미) 부부의 모습은 정말 따뜻했습니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끝까지 서로를 지키는 그들의 모습은 인간애가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반대로 석우는 처음엔 이기적이고 냉정했지만 딸 수안을 지키기 위해 점점 변해갑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그가 보여준 부성애의 희생은 단순한 생존극이 아니라 한 아버지의 성장 이야기로 느껴졌습니다. 그 장면에서 눈물이 났습니다. 열차라는 공간도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도망칠 수 없는 곳, 서로가 부딪히며 살아야 하는 한정된 공간은 마치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 같았습니다. 서로의 불안과 욕심이 부딪히는 현실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이기적이면서도 동시에 따뜻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영화의 분위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감으로 가득하지만 그 안에는 분명 따뜻한 감정선이 존재합니다. 특히 아이를 바라보는 어른들의 표정 하나하나가 진심으로 다가왔고 단순한 공포를 넘어 삶과 관계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3. 총평
부산행은 좀비 영화로 포장된 감정의 드라마입니다. 사람의 탐욕, 두려움, 사랑 그리고 희생이 얽혀 만들어낸 현실적인 이야기입니다. 저는 이 영화를 보며 “끝까지 인간답게 산다는 게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습니다.
감염된 세상 속에서도 누군가는 타인을 지키려 하고 누군가는 자신의 가족을 위해 목숨을 걸며 누군가는 끝내 이기심에 무너집니다. 이 대조가 영화의 메시지를 더욱 깊게 만듭니다.
부산행은 단순한 공포 영화가 아닙니다. 우리가 잊고 있던 인간적인 따뜻함, 그리고 사랑의 본질을 다시 깨닫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그 장면들이 선명하게 떠오르는 이유는, 단순히 좀비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그 속의 사람들 이야기가 진짜였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영화를 다시 보신다면 아마 처음 봤을 때보다 훨씬 더 많은 감정을 느끼게 될 겁니다. 공포 속에서도 끝까지 사람의 온기를 지키려 했던 그들의 모습, 그게 바로 부산행이 오래 기억되는 이유입니다.